미세먼지 걱정없는 안심환경 조성
페이지 정보

본문
미세먼지 걱정없는 안심환경 조성
환경부, 일자리창출도
미세먼지 걱정없는 안심환경 조성을 위한 정부 예산이 늘어난다. 지역밀착형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정비에도 집중 투자,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다는 목표다.
28일 환경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내년 예산 및
기금안을 31일 국회에 제출한다고 밝혔다. 내년 예산 규모는 올해보다 3.7% 증액된 7조5877억원이다. 국회 심의·의결를 거쳐 12월
2일까지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환경부는 "변화된 정책여건과 높아지는 국민들의 환경개선 요구수준에 따른 국민 체감형 체질 개선에
중점을 뒀다"며 "환경 관리를 위한 재정투자가 환경질 개선 뿐 아니라 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환경기초시설 투자 패러다임을 전환한다.
상·하수도 SOC의 경우 선진국 수준의 보급률을 고려해 먹는 물 안전, 물복지
격차해소 등 사회적 가치를 반영한 질적 투자로 바꾼다.
상수도는 노후상수도 현대화, 도서지역 식수원 개발 등 지역밀착형 생활 SOC
투자 중심으로 확대한다. 하수도는 신설·확충에서 보수·개량 중심으로 투자 비중을 늘릴 예정이다.
시민들의 불안감이 높은 미세먼지와
온실가스를 저감하기 위한 투자도 강화한다. 환경부는 내년부터 지하철 역사를 대상으로 한 실내 미세먼지 개선 사업에 착수하고 수송 및 산업 부문
배출저감 사업 투자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미세먼지 분야 예산안 규모는 올해보다 27.6% 늘어난 8832억원이다. 온실가스 분야 역시
중소·중견기업 감축설비 구축을 본격적으로 확대 지원하고 기후변화 취약성 저감 시범사업 실시한다. 내년 온실가스 분야 예산안은 올해보다 48%
늘어난 598억원이다.
순환경제·사회 조기 구현을 위한 자원순환 예산 구조도 탈바꿈할 예정이다. 폐기물 처리 보다는 생산·소비
단계에서 원천 감량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환경부는 재활용을 촉진시켜 매립·소각 등 최종처리 예산을 줄이겠다고 밝혔다.
- 이전글국민 절반 이상 "미세먼지는 건강위협", "미세먼지 저감 노력 필요" 18.10.18
- 다음글오존 노출 사망자 증가율(인구 100만명당 사망자수) OECD '최고' 18.08.2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